H_Study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드센스 광고 테스트 웹에 붙이는 광고로 구글에서 제공해주는 애드센스가 있다. 테스트를 하기 위해 개인 도메인을 회사 서버에서 했는데 계속 빈화면으로 나오길래 뭔가 싶었다. 알아보니 방문자 유입이 있어야 하고, 트래픽이 발생 되어야만 승인을 해준단다. (깐깐한 애드센스) 네이티브 앱에 광고를 붙이고 싶을 땐 애드몹을 이용하면 되고, 웹에 붙이고 싶으면 애드센스로 해야한다. 뭣모르고 계속 헤매고 다녔으니 ㅠㅅ ㅠ 시간만 날렸다. github folder delete git rm -r folder_name git commit -m "your commit" git push origin master해당 파일디렉토리에서 실행! 출처: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6313126/how-to-remove-a-directory-in-my-github-repository youtube video upload! 유투브 비디오 업로드를 제일 구현하고 싶었는데 처음엔 ajax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아 정말 어려웠다. 생각보다 프론트엔드 부분에서 불러오는 ajax부분은 쉬워서 금방 이해할 수 있었다. 코드를 공유하겠다.! (backbone view 구조이다.) var GOOGLE_PLUS_SCRIPT_URL = 'https://apis.google.com/js/client:plusone.js'; var CHANNELS_SERVICE_URL = 'https://www.googleapis.com/youtube/v3/channels';var VIDEOS_UPLOAD_SERVICE_URL = 'https://www.googleapis.com/upload/youtube/v3/videos?uploadType=resumable&p.. youtube API 활용(javascript) YouTube API 활용 (javascript)유투브 공식 api 홈페이지에 잘 정리되어 있다. https://www.youtube.com/yt/dev/ko/api-resources.html 내가 활용하면서 가장 애먹었던 것은 401(invalid credential)에러이다. youtube를 활용해서 search list를 하는 과정에서는 oauth인증이 필요하지 않지만, 유투브에서 좋아요를 누른 동영상, 나중에 볼 동영상, 내 채널 등등 개인정보와 연관되어 있는 모든 것들은 필요합니다.따라서 예제코드는 아주 구하기 쉬운 편이니, 저 오류를 겪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까 해서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1. https://console.developers.google.com/?hl=ko 먼저 google c.. Visual Paradiam UML을 위한 도구이다. 맥과 윈도우를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가격이 굉장히 비싸다.(사용 3일째이지만 정말 편해서 그 가격에 살만하다.) 화면구성은 아래와 같다. 앞서 말했듯 사용 3일째이고, object diagram, sequence diagram, class diagram정도만 그려봤다. UML도구들을 사용했었던 경험이 많지 않지만(Star UML, Rational Rose) 이 툴에 대한 장점을 나열하긴 어려울것 같다. 그냥 쓰다보니 편하다. 이보다 더 큰 장점이 어딨을까? git fatal: remote origin already exists. 에러 github에 새로운 repository 를 생성하고, terminal로 remote할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이다. fatal: remote origin already exists. 에러 따라서 이때 remote origin없애벌 git remote rm origin 입력 후 하면 잘 된당 ㅎㅅㅎ 원격저장소에서 변경된 파일을 pull하기 원격저장소를 복제한 곳에서 변경되었고, 이것을 원격 저장소에 올렸다!그리고 그 원격저장소(roxtigers)에서 맨 처음 올렸었던 test1.rtf를 pull 해서 받아올거다. 이 프로세스가 하나의 원격 저장소를 통해 다수의 사람들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브랜치라는 개념도 있지만 그건 내가 git을 더 사용해보면서 어떻게 쓰는지 알아가야 겠다. (머리로는 이해가 되지만 가슴으로 와닿지 않음ㅋㅅㅋ) 1. test1 저장소로 가겠다. 2. 상단의 풀을 눌러서 변경된 사항을 받아올 것이다. 3. 변경된 사항을 파일을 열어서 확인할 수 있다. 복제한 저장소에서 내용을 변경하고 push하기 먼저 복제한 roxtigers 저장소에 있는 text1.rtf의 내용을 추가했다.내용이 변경되자, 저장소 목록에 변화가 있었다. 1. 2.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는 파일을 선택하고, 커밋을 해준다. 3. 바뀐내용이 추가되었고, 커밋할 코멘트를 간단하게 작성한 후 커밋을 했다. 4. 커밋을 한 후 원격 저장소에 푸쉬해준다. 끝. 여담이지만 티스토리에 글 올리기 힘들다. 특히 사진 이거 진짜 별로.. 스크린샷 찍은거 그냥 복 붙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