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사수님의 도움을 받아 어찌어찌 환경설정을 했다.
(맥에 jdk는 기본으로 있다는 것도 놀라웠고 그래서 버전 업을 하는 과정에서 애먹었다. 어려워어려워.. 맥은 너무 어렵다.)
사실 너무 빠르게 하고, 방대한 정보를 머리에 넣느라 다 잊어버렸을 것 같아 프로젝트 생성과정을 간단하게 적어보려고 한다.
1.
프로젝트 생성하는 건 모든 개발자들이 잘 아시지 않습니까? 그래도 이 화면이 처음이니까 ㅎㅅㅎ
2.
Spring Legacy Project를 선택 Next!
(Starter Project와는 어떤 부분이 다른가에 대한 것은 아직 잘 모르겠음. Starter는 선택해야 할 것이 굉장히 많아서 복잡해 보였음. 툴에 대한 이해도와 Spring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 비교해봐야겠음. 난 Spring도 몰랐었음 ㅠㅅ ㅠ)
3.
프로젝트 이름을 쓰고, Spring MVC Project 선택 후 Next!
4.
top-level package 쓰라는데.. 안드로이드 할때 많이 본 것 같다. 보통 자기가 소속되어 있는 회사, 학교의 url을 쓰면 기억하기 쉽다고 해서 난 저렇게 써봤음. 아무튼 쓰고 Finish!
5.
프로젝트가 생성됨을 알 수 있고, 이제 개발을 시작하면 된다.
6. STS 의 장점은?
이전에 Spring이라는 것을 듣긴 했으나 개념을 몰라서 잘 모르겠다. Spring에 최적화 되어 있는 개발 플러그인이라는데..(이전엔 이클립스에서 플러그인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개발해보다 보면 장점을 알겠지.. 하루써본 결과로는 잘 모르겠닿 지난주 node.js교육때 아톰에디터 써봤었는데, 편했다. 가벼웠다.
7. 느낀점
역시 개발자는 다양한 운영체제를 경험해 봐야 한다. 맥에 대한 구조를 잘 몰라서 한참 헤맸다. (물론리눅스도 잘 몰라서 더 헤멜 듯 하다.)
그리고 이클립스, Webstorm정도만 사용해봤는데, 툴도 다양하게 경험해 봐야 장단점을 느낄 수 있고 나에게 어울리는 툴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H_Study >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제한 저장소에서 내용을 변경하고 push하기 (0) | 2016.09.28 |
---|---|
원격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로컬 저장소 Test2로 가져오기 (0) | 2016.09.28 |
git 원격저장소에 push하기 (0) | 2016.09.28 |
git 사용하기 (0) | 2016.09.28 |
STS Server resources (0) | 2016.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