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_Study/Tools

git 원격저장소에 push하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이전까지의 내용은 로컬 저장소에 커밋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git remote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로컬이 아닌 원격저장소에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야 git에 프로젝트를 넣고 다수의 개발자가 커밋을 하여 하나의 프로젝트를 완성해 나갈 수 있다. 이때 git에서는 리모트 저장소 라는 개념이 있다.

리모트 저장소는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어딘가에 있는 저장소를 말한다고 한다. 



간단히 말해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한다는 것은 리모트 저장소를 관리하면서 데이터를 거기에 Push 하고 Pull 하는 것이다. 리모트 저장소를 관리한다는 것은 저장소를 추가, 삭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브랜치를 관리하고 추적할지 말지 등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에는 리모트 저장소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출처 : https://git-scm.com/book/ko)



1. Backlog에 원격 저장소 생성하기


우선 Backlog에 로그인하여, 계정을 생성하고 1달 무료 라이센스를 선택한 다음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git을 이용하려면 최소 1개의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한다.


프로젝트 명과 프로젝트 키를 넣어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2. 프로젝트에서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생성 후 들어가서 git을 설정해줘야 한다.

3. 이 후에 리포지터리를 추가해야 한다.


4. 생성이 된 이후 

원격 저장소가 만들어 진 것이당.

다음으로는 roxtigers 원격 저장소에 test1를 푸쉬 해보자.


5. test1 로컬 저장소에 들어가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설정을 눌러 들어간다.

6. 원격 탭에서 추가 버튼을 눌러 원격 이름과 경로를 넣어주자. 


URL경로는 이전에 git설정에서 만든 HTTP주소를 복사, 붙여넣기 해주면 된다. 확인 버튼.

(왜 origin이냐? 콘솔로 작업할 때 원격 저장소 명을 생략하면 자동으로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생성된다고 한다.)


아래와 같이 remote를 누르면 origin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8. 상단의 push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고 체크가 자동적으로 되어 있다.

확인 버튼을 누르자.


확인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푸쉬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9. 푸쉬가 완료되면 origin/master가 추가되는 걸 볼 수 있다.



10. backlogtool.com에 들어가서 git 탭에 들어가면, 

커밋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